목록must-have-tech (6)
기록

여러분은 행렬을 배우셨나요? 저는 저희 때의 이상한 교육과정때문에 행렬을 한 번도 배우지 않았는데요. 제 앞 뒤 교육과정에서는 다 배운 것 같더라고요ㅎㅎ.. 이렇게나 실생활에 행렬을 많이 쓰는데 누가 교육과정에서 행렬을 뺀 것일까요? 누군진 몰라도 정말 지독하기 짝이 없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행렬을 배우지 않았다고 해도 걱정마세요. 우리는 매트랩을 쓰기 위한 아주 기초만 알고 가겠습니다. 매트랩을 할 때는 행렬이 정말 빠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매트랩이 Matrix Laboratory의 약자이니 만큼 매트랩에서는 행렬이 아주아주 많이 쓰입니다. 행렬(Matrix)이란? 2차원 배열입니다. 배열(Array)이란? 위키피디아를 보면 번호(인덱스)와 번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들로 이루어진 자료구조라고 나와있습니다..
실험이 중반부를 향해 가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제 피험자에게 1부터 10까지 숫자를 보여줘야 합니다. 보통은 숫자가 아니라 이미지를 제시하겠지만.. 이번에는 숫자를 보여주는 실험이라고 가정합시다. 이제까지 배운 방법으로는 이렇게 보여주면 되겠죠? disp(1) disp(2) disp(3) disp(4) ... 그런데 너무 길지 않나요? 적기가 너무 힘듭니다. 10개까지는 그럭저럭 할 수 있겠는데, 보통 실험에서는 100개, 200개씩 자극을 보여주는 일도 흔합니다. 이 자극을 전부, 일일이 적기엔 힘이 부칠 것 같습니다. 그래서 나온 것이 for문입니다. for문 쓰는 법 for i = 1 : 10 숫자는 마음대로 설정 가능,i도 다른 변수명 사용 가능 i가 1부터 10까지 1씩 증가, i가 10이 될 ..

우리가 이제 실험을 하나 만들어야 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실험에서는 피험자가 아동/청소년인지 성인인지에 따라서 안내를 다르게 해야합니다. 안내문을 출력하는 거는 아는데... 아동청소년인지 성인인지에 따라 안내를 어떻게 다르게 출력할 수 있을까요? 이 때 필요한 것이 조건문(if문) 입니다. If문 쓰는 법 if 조건문 조건이 참이면 실행 else 조건이 거짓이면 실행 end 그렇다면 우리는 이렇게 코드를 구상할 수 있습니다. 피험자가 아동청소년인지 성인인지 입력받기 만일 아동청소년이면? "이 실험은 아동청소년을 위한 실험입니다." 출력하기 아동청소년이 아니면? (=성인이면?) "이 실험은 성인을 위한 실험입니다." 출력하기 끝 피험자(사용자)의 반응을 입력받는 명령어는 input() 입니다. 이 명령어..
매트랩 안에서는 기본 연산부터 시작해서 복잡한 연산까지 할 수 있습니다. 전 포스팅에서 다루었던 1+1 의 + 이나, a = 1 의 = 같은 모든 연산에 사용된 기호를 연산자라고 합니다. + 는 더하기, - 는 빼기, * 는 곱하기, / 는 나누기입니다. 연산에서 ( ) 를 사용해서 수학처럼 연산 우선순위를 만들어줄 수도 있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위 식을 명령창에 입력해보면, 괄호( )의 유무에 따라 두 식의 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매트랩 비교연산자 매트랩에서는 두 요소를 비교할 수 있는 비교연산자도 존재하는데요, 이미 = 기호는 변수에 대입할 때 사용하고 있으므로 매트랩 안에서는 같다는 ==를 사용합니다. a > b a가 b보다 크면 true, 같거나 작으..

사실 심리학도들은 전문적인 프로그래머가 아니기 때문에, 굳이 이런 컴퓨터 지식을 배울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밑에 소개되는 기본적인 개념만 알면 앞으로 실험을 작성하실 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코드에서 1+1을 실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간단하게, 명령창에 1+1을 치시면 됩니다. 그런데, 1+1이 아니라 엄청 긴 식에 1, 2, 3, 4, 5를 각각 더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3333+23444*23444+3434343)+1 (3333+23444*23444+3434343)+2 (3333+23444*23444+3434343)+3 (3333+23444*23444+3434343)+4 (3333+23444*23444+3434343)+5 이렇게 일일히 쳐도 괜찮지만, 이렇게 치면 손가락도 아프고 깔..

매트랩을 켜지면 이런 창이 뜰 건데요, 먼저 레이아웃을 살펴보겠습니다. 스크립트란 코드를 작성하는 파일인데요. 명령 창에서도 물론 코드를 적어 바로 결과를 볼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저장이 안 되겠죠? 내가 작성한 코드만 따로 저장할 수 있게 만드는 파일이 바로 '스크립트' 입니다. 보통 확장자는 .m 을 사용합니다. 여기에 매트랩이 새로 '라이브 스크립트'라는 것을 만들었는데요. 이건 별 건 아니고 바로바로 결과값이 옆으로 나오는 스크립트입니다. 원래 매트랩에서 그래프같은 결과를 볼 때에는 새 figure 창을 띄워야 하는데 라이브 스크립트에서는 창을 띄우지 않아도 됩니다. 지금 이해가 안 되셔도 좋습니다. 원래 이런 프로그램은 쓰면서 익히는 것이니까요! "새 스크립트"를 누르시면 스크립트를 편집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