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

디지털 VS 인쇄물: 종이로 된 책이 아이패드로 읽는 전자책보다 더 이해가 잘 될까? 본문

지각 심리/논문

디지털 VS 인쇄물: 종이로 된 책이 아이패드로 읽는 전자책보다 더 이해가 잘 될까?

이제언 2022. 1. 18. 15:25

난 논문 맨날 아이패드나 컴퓨터로 보는데 내가 논문 이해 잘 못하는 이유를 찾았다

근데 생각보다 그렇게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듯?? 걍 계속 디지털로 봐야징ㅎ (님아 교차검증좀요)

오늘의 논문

Singer, L. M., & Alexander, P. A. (2017). Reading across mediums: Effects of reading digital and print texts on comprehension and calibration.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85(1), 155-172.

첫 문장

This study explored differences that might exist in comprehension when students read digital and print texts.

서론

이해 및 교정

트위터나 멀티미디어 책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텍스트와 아이패드나 킨들같이 텍스트를 제시하는 방식의 변화로 인해 문해력의 본질이 변하고 있음.

디지털 문해력: 그래픽 표현에서 정보를 획득하는 것, 비선형적인 디지털 매체에서 원하는 것을 찾는 능력

점점 레거시 자료(뉴스, 책)을 디지털로 보는 경우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방법

참가자

90명의 대학생, 68.3% 여자, 평균 연령 19.28. (보통 디지털 네이티브라고 표현하는 세대) 백인 57.4%, 아시안 14.9%, 흑인 14.9%

실험 텍스트

아동기 질병에 대한 여덟 개의 실험 텍스트로 진행. 모든 텍스트는 비슷한 길이(대략 450 단어)와 읽기 레벨(Fry Readability, 대략 8.5학년 레벨)을 가짐. 각 참가자는 네 개의 텍스트를 읽음. (디지털 2개, 인쇄물 2개. 각 매체별로 책 발췌 1/뉴스 1 보여줌.)

측정

인구학적 설문조사

주제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100mm 스케일)

매체 선호도 7개의 상황에 대한 응답을 계산.

    (ex. 선데이 뉴스를 읽고 싶다. a. 디지털로 읽는다 b. 인쇄물로 읽는다 c. 선호하지 않는다)

매체 사용량 지난 학년 동안 얼마나 자주 디지털과 인쇄 매체를 이용했는지.

    (ex. 지난 학년기에 당신은 수업을 위해 전자책을 사용했습니까? a. 네, 모든 수업에서  b. 네, 몇몇 수업에서 c. 아니오)

독해 과제 및 채점 참가자에게 글을 읽은 후 주제, 키포인트, 다른 관련 정보를 물어볼 것이고, 문제를 풀 때 다시 글을 읽을 수 없다고 알려줌.

글을 읽고 풀어야 하는 문제:

    1. 이 글의 주제를 설명하시오.

    2. 이 글의 핵심을 나열하시오.

    3. 당신이 기억하는 다른 관련 있는 정보를 서술하시오.

결과

 주제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결과에 영향이 별로 없음. (r = .13, p < .01)

 매체 선호도: 전반적으로 디지털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물론 전부가 그런 건 아님) 모든 글을 디지털만 선호하는 사람은 90명 중 7.8%였는데, 모든 글을 종이로만 선호하는 사람은 단 한 명만 있었음.

 매체 사용량:

    1. 태블릿이나 이북리더기를 가지고 있는 학생 87.8%

    2. 95.6%의 학생이 디지털 텍스트를 하루에 한 번 이상은 본다고 응답.

    3. 81.1%의 학생이 하루에 한 번 인쇄된 텍스트를 본다고 응답. (24.4%는 가능한 한 최소로 본다고 응답함.)

    4. 64.4%의 학생이 한 개 이상의 과목을 위해 전자책을 사용한다고 응답.

• 매체에 따른 이해도

    1. 주제: 주 효과 X

    2. 핵심(요점): 텍스트 형태에 대한 효과는 없었지만, 매체의 차이와 관련한 상호작용 효과는 관찰됨 (F(1) = 8.96, p < .05, n^2 = .05).

    3. 기타 관련 정보: 매체 차이 상호작용 효과 있음 (F(1) = 44.64, p <.001, n^2 = .09). 텍스트 형태 차이 효과 없음.

질문 형태와 매체에 따른 이해도
이해도 질문 중 "핵심"을 묻는 질문에 대한 점수와 매체에 따른 상호작용에 대한 그래프.

• 성과 판단

69%의 참가자가 디지털 매체를 이용할 때 가장 잘 수행했다고 응답했고, 18%의 참가자는 인쇄물을, 13%의 참가자는 둘 다 동등했다고 응답.

한 줄 요약

많은 참가자가 디지털 매체에서 자신이 더 잘 글을 이해할 거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인쇄 매체에서 더 잘 이해했음.

Comments